앞에서 배운 라우팅 시스템은
1. 회선 방식
2. 패킷 교환 방식
3. 프레임 릴레이
4. 메시지
이 4가지가 있었고, 특히 패킷 교환 방식에는
패킷 교환 방식 - 가상 회선 방식
패킷 교환 방식 - 데이터 그램 방식
이 2가지의 방식이 있었다.
위의 방식들은 "데이터"를 중점으로 분류하였다.
지금부터는 "전송 방식"을 중점으로 분류해보겠다.
1. 전송과 교환
-전송: 다음 노드로 전송(안전한 전송에 중점)
-교환: 스위칭. 올바른 노드로 패킷이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.(경로 선택에 중점)
2. 전송 방식의 종류
위의 2가지 개념을 보면 전송이란, 라우팅에서 논리적인 경로 설정을 뺀,
그저 보내는 시스템 그 자체이다.
직접 링크{ //간접 링크(호스트-(네트워크)노드-노드-노드(네트워크)-호스트) 직접 링크(호스트-연결선-호스트)
2-1. 점대점 방식
-LAN, MAN, WAN 모든 곳에서 사용된다.
-라우터를 통해 전송한다.
-1ㄷ1 연결일 시 라우터가 필요 없을 수 있다.
-연결되어 있는 모든 라우터에 데이터를 전송 한다.
-WAN에서 사용될 때, 불규칙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, 보통 연결 개수가 많지 않아야 한다.
-스타형, 링형, 완전형, 불규칙형이 있다.
**즉, 라우팅을 통해 점대점으로 연결된 라우터에 데이터를 넘겨준다.
2-2. 브로드 캐스팅 방식
-LAN에서 주로 사용된다.
-이더넷, 회사 로컬 네트워크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.
-연결된 모든 호스트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.
-헤더에 있는 IP를 통해 데이터를 캐스팅한다.
-버스형, 링형이 있다.
-버스형(충돌 허용, 충돌 시 재 전송 EX. 이더넷), 링형(충돌 허용X, 토큰 사용)
-이더넷에서는 전선으로 연결됨.
}
3. 통신 주체에 따른 분류
네트워크를 전송방식에 따라, 점대점(직접 연결), 브로드 캐스팅으로 분류하였다.
점대점이 여러개 합쳐지면, 네트워크인것을 인지하자.
이제는 통신 주체에 따라 분류해보겠다.
유니 포인트 - 단일 수신자와 연결
멀티 포인트 - 다중 수신자와 연결
유니 캐스팅 - 단일 수신자에게만 데이터 전송
멀티 캐스팅 - 다중 수신자에게 데이터 전송
멀티포인트 유니캐스팅 - 여러개의 중복된 메시지를 전달-전달-전달하는 방식
브로드 캐스팅 - 다중 수신자와 연결되어 다중 수신자 모두에게 똑같은 데이터 전송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에 대하여 (0) | 2025.05.24 |
---|---|
웹 페이지 요청이 있을 때 플로우 (1) | 2025.05.24 |
여러가지 네트워크 환경 분석(인프라 시작하기) (0) | 2025.05.23 |
데이터 링크 계층 (0) | 2023.11.07 |
라우팅 시스템, 네트워크의 구조 (0) | 2023.11.06 |